사회일반

고양이와는 다른 '포스' 풍기는 '이 동물', 야생서 포착

얼핏 보기에는 길고양이로 착각할 수 있지만, 몸집이 더 크고 몸에 반점이 더 많은 이 동물은 '살쾡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진 '삵'이다. 삵과 살쾡이는 동일한 동물로서 서로 다른 표준어이다.

 


살쾡이의 어원은 삵과 고양이의 '괭이'가 결합한 것으로, 고양이와 유사한 외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두 동물은 처한 환경과 의미에서 큰 차이가 있다. 고양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반면, 삵은  1998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최근 서울 한강 공원에서 귀한 삵이 발견되었다. 이는 인간의 작은 배려로 자연과 생태계가 스스로 회복할 수 있다는 중요한 사례를 보여준다. 삵 외에도 큰기러기, 남생이, 맹꽁이 등 다양한 멸종 위기종이 한강 공원에 나타나고 있다.

 

삵은 본래 산이나 계곡에서 자주 발견되던 동물로, 주로 쥐와 같은 설치류를 먹는다. 그런 삵의 멸종위기는 '쥐약'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했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한국전쟁 이후 강력한 쥐약을 무차별적으로 살포하면서 쥐를 먹은 삵까지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삵은 서울 한강 광나루한강공원의 암사생태공원에서 어미로부터 독립된 새끼로, 물웅덩이 근처에서 사냥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한강 변 탐방로에서 배설물을 통해 삵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이후 모니터링을 통해 실제 모습을 확인했다.

 

현재 한강에는 여의도 샛강, 강서습지, 고덕수변, 암사, 난지생태습지원 등 5개의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07년 한강의 생물종 수는 1608종이었으나, 2022년에는 2062종으로 증가했다. 특히, 삵 외에도 수달과 맹꽁이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황조롱이와 수리부엉이 같은 천연기념물도 발견되었다.

 

한강 변의 나무도 365만 그루로 증가했으며, 이는 2007년 말 199만 그루와 비교해 약 1.8배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변화는 한강 변에 숲이 생기고 생태공원을 중심으로 보호가 이루어지면서 생태계가 회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주용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앞으로 한강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 다양한 생물과 사람이 건강하게 공존하는 공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