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부산 지역 소주'가 던진 '마지막 승부수'의 정체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두 회사의 저도주 전략이다. 창원의 무학은 지난해 말 '좋은데이 부산갈매기16'을 출시하며 도수를 16도로 낮췄다. 여기에 '부산갈매기'라는 직설적인 네이밍으로 부산 시장 탈환 의지를 드러냈다. 부산 토박이 기업 대선주조는 한발 더 나아가 15.9도의 '대선 159'를 선보였는데, 출시 한 달 만에 1000만 병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대기업 계열사들의 무서운 성장세가 있다. 하이트진로의 경우 10년 전만 해도 6%에 불과했던 부산 시장 점유율이 현재는 40%를 넘어서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롯데칠성의 16도 '새로', 하이트진로의 15.5도 '진로 골드' 등 저도주 제품들이 젊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음주 문화의 대전환을 반영한다고 분석한다. 과거 '취하기 위해 마시던' 술에서 '즐기기 위해 마시는' 술로 소비 트렌드가 변화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회식 문화의 쇠퇴, 와인·위스키·칵테일 등으로의 주류 소비 다변화도 한몫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지역 소주업체들의 고민이다. 1990년대만 해도 23도가 넘는 고도주가 주류를 이뤘다. 무학의 '화이트', 대선의 '시원(C1)', 진로의 '참이슬' 모두 23도로 출시됐었다. 하지만 노년층 고객을 의식해 도수 낮추기를 망설이던 지역 업체들도 이제는 생존을 위해 변화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대선주조 측은 "오랜 연구 끝에 내놓은 신제품으로 활로를 찾겠다"는 입장이며, 무학은 "디지털 콘텐츠 제작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마케팅으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하지만 이미 대기업들이 장악한 시장에서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결국 부산·경남의 소주 전쟁은 이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단순한 지역 감정 마케팅을 넘어,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제품력과 브랜드 전략이 승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