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하루 11시간 앉아있는 10대들... 전문가들 '집단 건강 붕괴' 경고

질병관리청의 2017~2023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중·고등학생들의 하루 평균 좌식 시간이 평일 11.02시간, 주말 9.21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년 전인 2017년(평일 10.19시간, 주말 8.45시간)과 비교해 현저히 증가한 수치다.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학습 목적 외 좌식 시간의 급격한 증가세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을 위해 앉아있는 시간은 2017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평일 기준 7.64시간에서 7.59시간으로, 주말은 3.92시간에서 3.84시간으로 줄었다. 반면 학습 외 목적의 좌식 시간은 같은 기간 평일 2.55시간에서 3.44시간으로, 주말은 4.53시간에서 5.37시간으로 급증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주말의 비학습 좌식 시간이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였던 2020년(5.48시간)과 2021년(5.32시간)에 버금가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WHO가 권고하는 청소년 일일 신체활동 기준을 충족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극히 저조하다는 점이다. WHO는 청소년들에게 매일 최소 1시간의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으나, 국내 중고생들 중 이를 실천하는 비율은 17.1%에 불과했다. 2017년의 13.8%에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는 좌식 생활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다. 성별에 따라 그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 하루 3시간 이상의 게임 시간이 자살 생각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더욱 취약해서, 하루 2시간 이상의 인터넷 사용만으로도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났으며, 3시간을 초과할 경우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악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생활습관의 문제를 넘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의존도가 높아지는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