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보다 14배 폭증"… K변이로 독감 대유행 공포

 최근 A형 독감(인플루엔자) H3N2의 새로운 하위 변이인 'K 변이(subclade K)'가 전 세계 독감 유행을 주도하며 국내에서도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문제는 이 K 변이가 현재 사용 중인 독감 백신이 겨냥한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백신과 유행 변이 간의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중증 및 사망 예방 효과를 근거로 독감 백신 접종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방어책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24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국내 유행 바이러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11월 1일부터 8일까지 국내에서 검출된 A형 독감 H3N2 바이러스 중 새로운 하위 변이인 'K 변이'의 점유율이 97.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실상 현재 국내 독감 유행을 K 변이가 독점하고 있다는 의미다.이러한 K 변이의 확산세는 독감 환자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9일부터 15일(46주차)까지 전국 표본감시 의료기관 300곳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증상을 보인 환자는 66.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독감 유행 기준인 4.9명을 한참 웃도는 수치이며, 1년 전 같은 기간의 4.6명과 비교하면 무려 14배나 폭증한 수치다.K 변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각국의 독감 유행을 이끌고 있다. 캐나다, 일본, 영국 등에서도 환자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최근 등록된 H3N2형 인플루엔자 검사 표본 중 절반 이상이 K 변이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CDC) 역시 최근 몇 년간 H3N2가 주요 유행 바이러스가 아니었기 때문에 인구 전체의 자연 면역 수준이 낮아져 K 변이 확산에 취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가장 큰 우려는 현재 유행 중인 K 변이가 기존 독감 백신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ECDC는 유전자 계통 분석 결과, K 변이가 현재 북반구 독감 백신에 포함된 H3N2 표적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한, 시험관 내 항원 및 혈청 분석 결과 역시 백신과 변이 바이러스 간에 항원 불일치(antigenic mismatch)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백신 접종을 했더라도 K 변이 감염을 완전히 막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백신 무용론을 경계하며 접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ABC 뉴스의 수석 의학전문기자이자 심장내과 전문의인 타라 나룰라 박사는 "백신 접종이 핵심"이라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항체 형성에 약 2주가 걸리지만, 백신은 감염을 완전히 막지 못하더라도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위험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독감은 단순한 감기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경고도 이어진다. 독감은 중이염, 부비동염 등의 합병증 위험을 높이고, 치료가 늦어지면 폐렴으로 악화하거나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특히 K 변이는 고령층과 어린이 등 면역 취약 계층에게 더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DC는 65세 이상 고령층, 5세 미만 아동, 면역저하자, 임산부, 당뇨·심장질환·폐질환 등 기저질환자를 독감에 취약한 고위험군으로 꼽으며 이들의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고했다.